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3년부터 1993년까지 존재했던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준우승 2회(1934, 196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회(1976), 3위 2회(1960, 1980), 올림픽 금메달 1회(1980), 은메달 1회(1964)를 기록했다.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한 후,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해체되었고,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과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분리되었다. 주요 선수로는 요제프 마소푸스트, 안토닌 파넨카, 즈데네크 네호다, 안토닌 푸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 -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1925년부터 1993년까지 존속했던 체코슬로바키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스파르타 프라하, 두클라 프라하, 슬라비아 프라하가 주도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후 체코 1. 리가와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로 분리되었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발칸 반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FIFA 월드컵 8회,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하계 올림픽 10회 출전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해체되었으며, 스테판 보벡과 드라간 자이치가 각각 최다 득점과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2년부터 1990년 독일 통일까지 존속했던 동독의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1회 진출, 올림픽 금메달 획득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독일 통일 후 해체되어 일부 선수는 통일 독일 대표팀에 합류했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관한 - 유프 데어발
유프 데어발은 독일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서독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UEFA 유로 1980 우승과 1982년 FIFA 월드컵 준우승을 이끌었으며, 갈라타사라이 감독 시절에는 터키 축구 발전에 기여하여 '터키 축구의 혁명가'로 불렸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관한 - UEFA 유로 1992
1992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유로 1992는 유고슬라비아 대신 출전한 덴마크의 우승이라는 이변과 함께 "유로" 명칭 사용 전 마지막 대회이자 선수 이름이 등번호 옆에 인쇄된 최초의 주요 축구 대회였다.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체코슬로바키아 |
사용 기간 | 1919–1993 |
협회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협회 |
홈 경기장 | 스타디온 에브제나 로시츠케호 (1926–1993) |
최다 출장 선수 | 즈데네크 네호다 (91) |
최다 득점 선수 | 안토닌 푸치 (34) |
FIFA 코드 | TCH |
유니폼 | |
![]() | |
![]() | |
첫 경기 | |
첫 경기 (보헤미아) | 헝가리 2–1 보헤미아 (부다페스트, 헝가리; 1903년 4월 5일) |
첫 경기 (독립 후) | 체코슬로바키아 4–1 벨기에 (파리, 프랑스; 1919년 6월 24일) |
마지막 경기 | 벨기에 0–0 체코슬로바키아 (브뤼셀, 벨기에; 1993년 11월 17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체코슬로바키아 7–0 유고슬라비아 (앤트워프, 벨기에; 1920년 8월 28일) 체코슬로바키아 7–0 유고슬라비아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1925년 10월 28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헝가리 8–3 체코슬로바키아 (부다페스트, 헝가리; 1937년 9월 19일) 스코틀랜드 5–0 체코슬로바키아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1937년 12월 8일) 헝가리 5–0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1950년 4월 30일) 헝가리 5–0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1952년 10월 19일) 오스트리아 5–0 체코슬로바키아 (취리히, 스위스; 1954년 6월 19일) |
FIFA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
첫 출전 | 1934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34년, 1962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3회 |
첫 출전 | 1960년 |
최고 성적 | 우승 (1976년) |
올림픽 | |
최고 성적 | 금메달 (1980년), 은메달 (1964년) |
메달 기록 | |
FIFA 월드컵 | 1934년 이탈리아 준우승 1962년 칠레 준우승 |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 1976년 유고슬라비아 우승 1960년 프랑스 3위 1980년 이탈리아 3위 |
올림픽 | 1980년 모스크바 금메달 1964년 도쿄 은메달 |
2. 역사
2. 1. 보헤미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해 있던 보헤미아 왕국은 1903년 4월 5일,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1-2로 패하며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8] 10월 7일에는 프라하에서 헝가리와 4-4 무승부를 기록했다.[8] 1908년까지 두 나라는 세 번 더 경기를 치렀는데, 보헤미아는 1907년 10월 6일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8] 보헤미아는 1908년 6월 13일, 홈에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0-4로 패하며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8]오스트리아 축구 협회의 반대 때문에 FIFA에서 제명된 후, 체코 축구 협회는 1909년 3월 프랑스의 USFSA와 잉글랜드 아마추어 축구 협회와 함께 UIAFA를 설립했다.[9] 보헤미아는 1911년 UIAFA 유럽 축구 토너먼트에서 결승전에서 잉글랜드 아마추어 축구 국가대표팀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0][11][12]
2. 2. 1차 세계대전 이후 (1919-1939)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국가 체코슬로바키아는 1919년 파리에서 열린 연합군 경기에 처음 출전하여 프랑스를 꺾고 우승했다.[13] 이 경기는 공식 FIFA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14]이듬해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 참가하여 유고슬라비아를 7-0으로 대파하는 등 순조롭게 결승에 진출했으나, 벨기에와의 결승전에서 심판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장을 떠나 실격 처리되었다.[15] 1924년 파리 올림픽에도 참가했지만 2라운드에서 스위스에 패해 탈락했다.[8]
1934년 FIFA 월드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예선에서 폴란드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루마니아, 스위스, 독일을 차례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개최국 이탈리아에 연장전 끝에 1-2로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올드리히 네예들리(Oldřich Nejedlý)는 5골을 넣어 득점왕을 차지했다.[16]
1938년 프랑스 월드컵 예선에서는 불가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 네덜란드를 3-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브라질과의 8강전은 거친 플레이로 보르도 전투로 불리며, 체코슬로바키아는 재경기 끝에 1-2로 패했다.[17]
1939년 독일 점령하에 "보헤미아"라는 이름으로 세 경기를 치렀다.[8]
1930년대에는 오스트리아와 여러 차례 친선 경기를 가졌으며, 1938년에는 빈에서 오스트리아를 2-1로 꺾기도 했다.
2. 3. 2차 세계대전 이후 (1945-1993)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1950 FIFA World Cup qualification)에 불참한 후, 체코슬로바키아는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3승 1무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그러나 1954년 FIFA 월드컵(1954 FIFA World Cup) 본선에서는 우루과이와 오스트리아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8] 1958년 FIFA 월드컵(1958 FIFA World Cup) 예선에서는 웨일스와 동독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본선에서는 북아일랜드에 패하고 서독과 무승부를 거둔 후 아르헨티나를 6-1로 대파했으나, 북아일랜드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탈락했다.[8]1959년, 체코슬로바키아는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첫 경기에서 아일랜드에 패했지만, 이후 덴마크와 루마니아를 꺾고 1960년 유럽 네이션스컵 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소련에 패했지만, 프랑스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18]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체코슬로바키아는 스코틀랜드를 꺾고 본선에 진출, 스페인을 1-0으로 제압하고 브라질과 비겼으나 멕시코에 1-3으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조별 예선을 통과했다.[19] 8강에서 헝가리, 준결승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지만, 브라질에 1-3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20] 요제프 마소푸스트(Josef Masopust)는 1962년 FIFA 월드컵 결승전(1962 FIFA World Cup Final)에서의 활약으로 발롱도르(Ballon d'Or)를 수상했다.[20]


체코슬로바키아는 1966년 FIFA 월드컵과 1964년 유럽 네이션스컵, 1968년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70년 FIFA 월드컵에는 진출했지만, 브라질, 잉글랜드 등에 밀려 3전 전패로 탈락했다.[8]
197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잉글랜드, 포르투갈 등을 제치고 예선을 통과, 준결승에서 네덜란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서독과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 끝에 우승을 차지했다.[21] 안토닌 파넨카는 승부차기에서 감각적인 칩슛으로 결승골을 성공시켜, 이후 이 슛은 파넨카 킥으로 불리게 되었다.[22]

1978년 FIFA 월드컵에는 스코틀랜드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24] UEFA 유로 1980에서는 서독에 이어 조 2위를 기록, 3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를 승부차기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25] 198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쿠웨이트, 프랑스와 비기고 잉글랜드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미국과 오스트리아를 꺾고 16강에 진출, 코스타리카를 4-1로 대파했으나, 8강에서 서독에 0-1로 패하며 탈락했다.[26]
체코슬로바키아(RCS)는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마지막 경기인 벨기에전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이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RCS의 최다 득점자는 페터 두보브스키였다.
2. 4.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는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8강까지 진출했으나, 서독에 패해 탈락했다.[26] 같은 달,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감독 요제프 벵글로슈는 애스턴 빌라 감독으로 부임하며 잉글랜드 축구 역사상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26]1992년 7월 연방제 해소가 합의되었고, 1993년 1월 1일의 연방제 해소를 명시한 연방제 해소법이 1992년 11월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의회에서 가결되었다. 1989년 11월 벨벳 혁명으로 민주화가 이루어진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권한 이양이 진행된 결과였다.
이 때문에 연방제 해소 전에 1994년 월드컵 유럽 예선에 참가한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은 "RČS" 팀(Reprezentace Česka a Slovenska, 체코 및 슬로바키아 대표팀)으로 출전했다. RČS 팀은 1993년 11월 17일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면 조별 리그 2위로 진출하여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었지만, 0-0 무승부로 끝나 마지막 월드컵 출전은 이루지 못했다. RCS의 최다 득점자는 1993년 6월 2일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6골의 페터 두보브스키였다.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은 다음 두 팀으로 동등하게 분할되었다.
두 팀 모두 1996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예선에 참가했다.
1976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이 대회는 많은 서방 국가들이 보이콧하여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3. 주요 대회 기록
wikitext
- '''FIFA 월드컵'''
- * 준우승 (2): 1934, 1962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우승 (1):''' 1976
- * 3위 (2): 1960, 1980
- '''올림픽'''
- * '''금메달 (1):''' 1980
- * 은메달 (1): 1964
3. 1. FIFA 월드컵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서 8번의 본선 진출을 기록했다. 1934년과 1962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38년과 1990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불참 | 불참 | ||||||||||||||
1934년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9 | 6 | 9 | 1 | 1 | 0 | 0 | 2 | 1 | 3 |
1938년 | 8강 | 5위 | 3 | 1 | 1 | 1 | 5 | 3 | 4 | 2 | 1 | 1 | 0 | 7 | 1 | 4 |
1950년 | 불참 | 불참 | ||||||||||||||
1954년 | 조별리그 | 14위 | 2 | 0 | 0 | 2 | 0 | 7 | 0 | 4 | 3 | 1 | 0 | 5 | 1 | 10 |
1958년 | 조별리그 | 9위 | 4 | 1 | 1 | 2 | 9 | 6 | 4 | 4 | 3 | 0 | 1 | 9 | 3 | 9 |
1962년 | 준우승 | 2위 | 6 | 3 | 1 | 2 | 7 | 7 | 10 | 5 | 4 | 0 | 1 | 20 | 7 | 12 |
1966년 | 예선 탈락 | 6 | 3 | 1 | 2 | 12 | 4 | 10 | ||||||||
1970년 | 조별리그 | 15위 | 3 | 0 | 0 | 3 | 2 | 7 | 0 | 7 | 5 | 1 | 1 | 16 | 7 | 16 |
1974년 | 예선 탈락 | 4 | 2 | 1 | 1 | 9 | 3 | 7 | ||||||||
1978년 | 4 | 2 | 0 | 2 | 4 | 6 | 6 | |||||||||
1982년 | 조별리그 | 19위 | 3 | 0 | 2 | 1 | 2 | 4 | 2 | 8 | 4 | 2 | 2 | 15 | 6 | 14 |
1986년 | 예선 탈락 | 8 | 3 | 2 | 3 | 11 | 12 | 11 | ||||||||
1990년 | 8강 | 6위 | 5 | 3 | 0 | 2 | 10 | 5 | 9 | 8 | 5 | 2 | 1 | 13 | 3 | 17 |
1994년 | 예선 탈락 | 10 | 4 | 5 | 1 | 21 | 9 | 17 | ||||||||
1998년 이후 | 해체(체코가 승계) | 해체 | ||||||||||||||
합계 | 8회 진출(8/15) | 준우승(2회) | 30 | 11 | 5 | 14 | 44 | 45 | 38 | 71 | 40 | 16 | 15 | 144 | 63 | 134 |
3.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체코슬로바키아는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6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 대회와 1980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개최국 / 년도 | 성적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0 | 3위 | 2 | 1 | 0 | 1 | 2 | 3 |
1976 | 우승 | 2 | 1 | 1 | 0 | 5 | 3 |
1980 | 3위 | 4 | 1 | 2 | 1 | 5 | 4 |
합계 | 출전 3회/우승 1회 | 8 | 3 | 3 | 2 | 12 | 10 |
1964년 대회, 1968년 대회, 1972년 대회, 1984년 대회, 1988년 대회, 1992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6년 대회 이후에는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어 더 이상 참가하지 않는다.
3. 3. 하계 올림픽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 금메달 1개(1980년)와 은메달 1개(1964년)를 획득했다.[29] 1920년 대회에서는 결승전 도중 심판 판정에 항의하며 기권하여 실격 처리되었다.[29]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20년 | 대회 도중 실격 | (2위) | 4 | 3 | 0 | 1 | 15 | 3 | 9 |
1924년 | 1라운드 | 9위 | 3 | 1 | 1 | 1 | 6 | 4 | 4 |
1928년 | 불참 | ||||||||
1936년 | |||||||||
1948년 | |||||||||
1952년 | |||||||||
1956년 | |||||||||
1960년 | |||||||||
1964년 | 은메달 | 준우승 | 6 | 5 | 0 | 1 | 19 | 5 | 15 |
1968년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10 | 3 | 4 |
1972년 | 진출 실패 | ||||||||
1976년 | |||||||||
1980년 | 금메달 | 우승 | 6 | 4 | 2 | 0 | 10 | 1 | 14 |
1984년 | 불참 | ||||||||
1988년 | 진출 실패 | ||||||||
1992년[29] | |||||||||
1996년 이후 | 해체(체코가 승계) | ||||||||
합계 | 5회 진출(5/16) | 금메달(1회) | 22 | 14 | 4 | 4 | 60 | 16 | 46 |
4. 주요 선수
요제프 아다메치, 요제프 비찬, 야로슬라프 부르그르, 페르디난트 다우치크, 카롤 도블라시, 콜로만 괴흐, 라디슬라프 쿠발라, 안드레이 크바슈나크, 요세프 마소푸스트, 즈데넥 네호다, 올드르지흐 네예들리, 라디슬라프 노바크, 안톤 온드루시, 안토닌 파넨카, 카렐 파세크, 프란티세크 플라니츠카, 스바토플루크 플루스칼, 얀 포플루하르, 안토닌 푸치, 빌리암 슈로이프, 요세프 실니, 토마시 스쿠라비, 이보 빅토르, 라디슬라프 비제크 등 많은 선수들이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27]
순위 | 선수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즈데네크 네호다 | 90 | 31 | 1971–1987 |
2. | 마리안 마스니 | 75 | 18 | 1974–1982 |
라디슬라프 노바크 | 75 | 1 | 1952–1966 | |
4. | 프란티셰크 플라니치카 | 73 | 0 | 1926–1938 |
5. | 카롤 도비아시 | 67 | 6 | 1967–1980 |
6. | 요세프 마소푸스트 | 63 | 10 | 1954–1966 |
이보 빅토르 | 63 | 0 | 1966–1977 | |
8. | 얀 포플루하르 | 62 | 1 | 1958–1967 |
9. | 안토닌 푸치 | 60 | 34 | 1926–1938 |
10. | 안토닌 파넨카 | 59 | 17 | 1973–1982 |
순위 | 선수 | 득점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활동 기간 |
---|---|---|---|---|---|
1. | 안토닌 푸치 | 34 | 60 | 0.57 | 1926–1938 |
2. | 즈데네크 네호다 | 31 | 90 | 0.34 | 1971–1987 |
3. | 올드리히 네예들리 | 28 | 43 | 0.65 | 1931–1938 |
요세프 실니 | 28 | 50 | 0.56 | 1925–1934 | |
5. | 아돌프 셰레르(Adolf Scherer) | 22 | 36 | 0.61 | 1958–1964 |
프란티셰크 스보보다(František Svoboda) | 22 | 43 | 0.51 | 1927–1937 | |
7. | 마리안 마스니 | 18 | 75 | 0.24 | 1974–1982 |
8. | 안토닌 파넨카 | 17 | 59 | 0.29 | 1973–1982 |
9. | 요제프 아다메츠 | 14 | 44 | 0.32 | 1960–1971 |
토마시 스쿠흐라비(Tomáš Skuhravý) | 14 | 43 | 0.33 | 1985–1993 |
5. 역대 최다 출전/득점 기록
wikitext
5. 1. 최다 출전 기록
5. 2. 최다 득점 기록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는 안토닌 푸치(Antonín Puč)로, 1926년부터 1938년까지 60경기에 출전하여 34골을 기록했다.[27] 즈데네크 네호다(Zdeněk Nehoda)는 1971년부터 1987년까지 90경기에 출전하여 31골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27] 올드리히 네예들리(Oldřich Nejedlý)와 요세프 실니(Josef Silný)는 각각 43경기와 50경기에서 28골을 기록했다.[27]
6. 역대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1901-1910 MATCHES
http://www.cantab.ne[...]
2022-02-23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c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9-16
[3]
서적
Mammoth Book Of The World Cup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4-03-20
[4]
웹사이트
UEFA EURO 2016: How all the teams qualified
https://www.uefa.com[...]
2024-01-02
[5]
웹사이트
UEFA EURO 2020 contenders in focus: Czech Republic
https://www.uefa.com[...]
2024-01-06
[6]
웹사이트
UEFA EURO 2020 contenders in focus: Slovakia
https://www.uefa.com[...]
2024-01-06
[7]
웹사이트
Who has qualified for UEFA EURO 2024?
https://www.uefa.com[...]
2024-01-02
[8]
웹사이트
Czech Republic national football team
http://eu-football.i[...]
2014-07-10
[9]
웹사이트
Grand Tournoi Européen (Roubaix) 1911
https://www.rsssf.or[...]
2023-05-03
[10]
뉴스
Böhmen - der geheime Europameister
https://www.wienerze[...]
2023-05-03
[11]
웹사이트
Quand Roubaix accueillait le premier championnat d'Europe, en 1911
https://www.chroniqu[...]
2023-05-03
[12]
뉴스
La Semaine Sportive
https://gallica.bnf.[...]
2023-05-03
[13]
웹사이트
1919 Interallied Games
https://www.rsssf.or[...]
2024-01-09
[14]
웹사이트
Soccer at the Inter-Allied Games of 1919: Top Stars
https://www.ussoccer[...]
2024-01-09
[15]
뉴스
The Joy of Six: Olympic football tournament stories
https://www.theguard[...]
2014-07-10
[16]
웹사이트
Delight for the Azzurri as home advantage tells
https://www.fifa.com[...]
FIFA
2014-07-10
[17]
뉴스
World Cup History - On this day: Battle of Bordeaux
https://uk.eurosport[...]
Eurosport
2014-07-10
[18]
뉴스
Euro 1960: Lev Yashin leads Soviets to glory in France
https://www.bbc.co.u[...]
2014-07-10
[19]
웹사이트
The 11 fastest goals in World Cup history
https://nz.sports.ya[...]
TNT Sports International
2014-07-10
[20]
웹사이트
Brazil flying high with 'Little Bird' Garrincha
https://www.fifa.com[...]
FIFA
2014-07-10
[21]
뉴스
Panenka reflects on perfect penalty at Euro '76
http://www.uefa.com/[...]
UEFA
2014-07-10
[22]
뉴스
Euro 2012: The best and worst 'Panenka' penalties
https://www.telegrap[...]
2014-07-10
[23]
웹사이트
Czecho(Slovakia): The best football team never to win the World Cup?
https://kafkadesk.or[...]
2024-01-18
[24]
웹사이트
World Cup 1978 Qualifying
https://www.rsssf.or[...]
2014-07-11
[25]
웹사이트
UEFA Euro 1980 matches
http://www.uefa.com/[...]
UEFA
2014-07-11
[26]
뉴스
Feature: How Dr Josef Venglos was a pioneer at Aston Villa
http://www.birmingha[...]
2014-07-11
[27]
웹사이트
Czechoslovakia/Czech Republic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8]
웹사이트
Interallied Games 1919
https://www.rsssf.or[...]
2022-09-18
[29]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